-
최근 글
최근 답글
글목록
분류
그 밖의 기능
글쓴이 보관물: 운영자
[뉴스레터9호][칼럼]존귀하지도, 비루하지도 않은_오혜진
존귀하지도, 비루하지도 않은 오혜진(근현대문화연구자) 올봄에 읽은 한 소설이 남긴 강렬한 장면에 줄곧 사로잡혀 있다. 백화점 침구류 판매직원 여성인 ‘나’의 세계를 묘사한 황정은의 <복경>(<한국문학> 2015년 봄호)이다. 이 소설은 우선 우리가 익히 잘 안다고 생각하는 ‘서비스직의 감정노동’ 문제를 다룬다. 그 세계는 ‘고객과의 관계를 인격적 관계라고 … 계속 읽기
카테고리: 알림
Comments Off
[뉴스레터9호][칼럼]사랑과 환멸의 대중탕_권명아
[야! 한국사회] 사랑과 환멸의 대중탕 권명아(동아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한국 사회의 미래와 대중 정치에 대한 환멸이 담론 공간을 강하게 채우고 있다. 1960년대 신동엽의 “껍데기는 가라”에 담긴 다소 영웅적인 어조는 환멸에 대한 단절의 태도이기도 했다. 2015년 “껍데기는 가라”는 ‘이놈도 저놈도 마찬가지’인 … 계속 읽기
카테고리: 알림
Comments Off
[뉴스레터9호][칼럼]공동(空洞)의 문학(1)_김대성
공동(空洞)의 문학(1) 김 대 성(문학평론가) 텅 빈 건물을 지키는 관리인이 있다. 그가 하는 일이란 중단되었던 재개발이 시행될 때까지 건물을 텅 빈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거지 연립’이라 불리는 그 건물은 오래전부터 사람들이 찾지 않는 곳이 되었으나 관리인은 매일 밤 건물의 모든 … 계속 읽기
카테고리: 알림
Comments Off
[뉴스레터9호][칼럼]걸그룹의 문화경제학_이동연
걸그룹의 문화경제학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풍뎅이, 립서비스, 원피스, 7학년1반, 베드키즈, 단발머리, 딸기우유, 러블리즈, 그리고 레드벨벳. 이 단어들은 2014년 데뷔한 걸그룹의 이름이다. 2014년에 데뷔한 걸그룹은 어림잡아 40팀 가까이 된다. 같은 해 데뷔한 남자 아이돌 그룹이 20여 팀인 점을 감안하면 걸그룹의 수는 압도적이다. 이 글을 읽는 30-40대 남성들 중에서 앞서 열거한 걸그룹의 이름을 반 이상 … 계속 읽기
[뉴스레터9호][칼럼]‘쿡방’은 무엇을 요리하는가_문강형준
‘쿡방’은 무엇을 요리하는가 문강형준(문화평론가) ‘먹방’의 인기와 더불어 생긴 ‘쿡방’은 ‘먹방’의 변주다. ‘먹방’이 음식을 먹는 상황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면, ‘쿡방’은 그 음식을 만드는 상황에 집중한다. 예전에도 ‘요리 프로그램’은 고정적으로 편성되었다. 요리 연구가들이 나와 조용히 음식을 만들고, 영양을 설명하는 그런 프로그램들.지금의 ‘쿡방’은 과거의 요리 프로그램과 … 계속 읽기
카테고리: 알림
Comments Off
[뉴스레터9호][칼럼]혐오의 역설, 혐오의 귀결_문강형준
혐오의 역설, 혐오의 귀결 문강형준 | 문화평론가 생각해 보면, 해방 이후 한국 사회는 ‘혐오’ 없이는 작동할 수 없는 기계처럼 끊임없이 혐오를 필요로 했다. 분단과 전쟁 이래 지금까지도 ‘북한’은 같은 민족이 아니라 대표적인 혐오의 대상으로 호출된다. 70년대 이후에는 ‘전라도’와 ‘빨갱이’(‘북한’의 변주)가 박정희 및 전두환 … 계속 읽기
[뉴스레터8호] 문화연대 소식, 하나
[문화연대 소식] 1. 맑스코뮤날레 분과세션 발표 : 문화연대 & 예술인소셜유니온 세션 – 일시: 5월 15일 금요일 13시 30분~15시 – 장소: 서강대학교 다산관 D412 – 사회자 : 김현 (문화연대) – 발표자 : 하장호 (예술인소셜유니온) – 토론자: 권은영(진동젤리) 박은선(리슨투더시티) 염신규(한국문화정책연구소) 홍진훤(사진작가) 영연석(음악가) … 계속 읽기
카테고리: 알림
Comments Off
[뉴스레터8호][행사소식] 2015 맑스 코뮤날레 문화과학 세션
제7회 맑스코뮤날레가 오는 5월 15일(금)-17일(일) 까지 서강대학교(금/토)와 성공회대학교(일)에서 개최됩니다. <문화/과학>의 분과 세션 일정 일시: 5월 16일(토) 오전 10:30~12:30 장소: 서강대학교 정하상관(J관) J110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제: 일상의 변혁과 대안문화를 상상하기 사회: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계간 <문화/과학> 편집인) 발표 ○ 장시간 노동사회에서 대안을 모색하기(김영선,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 ○ 교육 불가능의 시대에서 대안을 모색하기(강정석, 지식순환협동조합 사무국장) ○ … 계속 읽기
카테고리: 알림
Comments Off